본문 바로가기

고고학 뉴스206

터키 선사 유적지서 8천500년 전 사람 이빨 장신구 출토 터키 선사 유적지서 8천500년 전 사람 이빨 장신구 출토 근동 지역서는 처음..장신구보다는 의식용인 듯 사람 이빨에 구멍을 뚫은 8천500년 전 장신구 [코펜하겐 대학 제공]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터키의 선사시대 유적지에서 8천500년 전 사람의 이빨에 구멍을 뚫어 장신구로 사용한.. 2019. 12. 30.
정선 매둔동굴서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 또 대거 출토 정선 매둔동굴서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 또 대거 출토 뗀석기·그물추·화석 등.."당시 생활상 이해에 도움"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에서 출토된 후기 구석기시대 그물추 [연세대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지난해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이 대거 출토됐던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에.. 2019. 12. 20.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방파제' 이스라엘서 7천년 전 돌로 쌓은 방파제 흔적 발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방파제' 이스라엘서 7천년 전 돌로 쌓은 방파제 흔적 발견 이스라엘서 가장 오래된 방파제의 흔적 발견 연구팀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 막기 위해" 이스라엘의 해안가에서 7천년 전 쌓은 방파제로 추정되는 흔적이 발견됐다/사진=미국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캡처 .. 2019. 12. 19.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현대 인류가 일으킨 질병 때문일까 리서치페이퍼-이영섭기자 현대 인류의 조상들에 의해 옮겨진 치명적인 질병이 유라시아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을 이끌었다는 연구가 제시됐다(사진=셔터스톡) [리서치페이퍼=이영섭 기자] 네안데르탈인은 과거 레반트 지역에서 호모 사피엔스와 함께 살았다. 수천 년 후 이들은 인간의 질.. 2019. 12. 19.
"호모 에렉투스, 인니 자바섬에 불과 10만년 전까지 생존" 인니 자바섬 호모 에렉투스 분석 논문, 네이처지 등재 (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두 발을 땅에 딛고 걸었던 직립원인(直立猿人) 호모 에렉투스가 25만 년 전에 사라진 것이 아니라 불과 10만년 전까지 살았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나왔다. 러셀 시오촌 교수와 자바섬의 호모 에렉.. 2019. 12. 19.
5700년 전 껌서 DNA 추출..고대인류 전체 게놈 해독 성공 5700년 전 껌서 DNA 추출..고대인류 전체 게놈 해독 성공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진 발표 신석기人 생김새·생활문화 새 단서 바이러스 등 병원체·미생물 발견도 5700년 전 신석기 시대의 어린 소녀가 씹었던 껌에서 추출한 유전체(게놈) 정보를 토대로 추정한 소녀의 모습 상상도(왼쪽)와 .. 2019. 12. 18.
4만4천년전 인니 동굴벽화..'세계서 가장 오래된 예술' 4만4천년전 인니 동굴벽화..'세계서 가장 오래된 예술' 네이처 발표..술라웨시섬에서 2년 전 발굴된 벽화 신화적 반(半)인류 사냥꾼 등장..당대 민속신념 반영 호주 그리피스대학 연구팀이 발표한 4만4천년 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동굴벽화 © AFP=뉴스1 (서울=뉴스1) 박혜연 기자 = 세계에서.. 2019. 12. 13.
신석기시대 한반도에서도 '옻' 사용했다 신석기시대 한반도에서도 '옻' 사용했다 5000년 전 밀양토기서 '옻' 검출 토기에 붉은 안료 바르는데 사용 신석기시대 밀양 신안 유적에서 출토된 ‘붉은 간 토기’의 적색안료 부분에서 옻이 확인됐다(사진=국립김해박물관)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국립김해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9. 12. 13.
고대 이집트 '머리 장식', 3300년 전 무덤서 첫 물리적 근거 발견 고대 이집트 '머리 장식', 3300년 전 무덤서 첫 물리적 근거 발견 3300년 전 이집트 무덤서 '머리장식' 물리적 근거 첫 발견 사후세계, 연회 장면 담은 이집트 유적서 원뿔모양 머리장식 한 모습 묘사 연구진 "무덤 비엘리트 계층..머리장식 지위 상징이라 볼 수 없어" 3300년 전 이집트 무덤서 .. 2019. 12. 13.
"네안데르탈, 호모사피엔스 때문에 멸종한 게 아니다" "네안데르탈, 호모사피엔스 때문에 멸종한 게 아니다" 통설 뒤집는 연구..인구·근친교배 등 내부악재 탓 "그냥 불운했다"..현생인류 '죄책감' 덜어낼 변론 등장 "네안데르탈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이랬을 것"[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오래전에 지구상에서 자.. 2019. 11. 28.
800개 넘는 매머드 뼈, 1만 5천 년 전 ‘포획용 덫’에서 발견 [데일리포스트=정태섭 기자] 800개 넘는 매머드 뼈, 1만 5천 년 전 ‘포획용 덫’에서 발견 (데일리포스트 이미지 출처=멕시코 국립 인류학 역사연구소 제공) 매머드는 약 480만 년 전부터 4천 년 전까지 존재했던 포유류로 유라시아 대륙·아프리카 대륙·남북 아메리카 등지에 널리 서식했.. 2019. 11. 13.
약 40만년 전 구석기시대 인류 동물 골수 '통조림' 활용 약 40만년 전 구석기시대 인류 동물 골수 '통조림' 활용 현장 소비만 한 줄 알았던 선사 인류 음식저장 첫 증거 6주 가량 보관된 동물 뼈의 골수 [루스 블라스코 제공]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약 40만년 전 구석기 시대의 인류가 동물의 뼈를 살과 가죽이 붙은 채로 보관해 뼛속 골수.. 2019. 10. 10.
약 5천년 전 선사시대부터 '젖병'에 동물젖 담아 유아 먹여 약 5천년 전 선사시대부터 '젖병'에 동물젖 담아 유아 먹여 英브리스틀대 연구팀, 진흙 용기와 내용물 분석 결과 선사시대 '젖병' 용기를 복원해 유아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 [헬레나 세이디 다 폰세카 제공]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인류가 약 5천년 전 선사시대 때부터 이미 지금의 .. 2019. 9. 24.
호주 연구팀 "호모 에렉투스, 게을러서 멸종했다" 호주 연구팀 "호모 에렉투스, 게을러서 멸종했다" 생존에 필요한 행위 최소한에 그쳐 호모 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과 차이 이동 꺼렸는데 거주지 사막화로 어려움 호모 에렉투스가 게으름과 계획의 부재로 인해 멸망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국립대학(ANU) 연구팀은 사우.. 2018. 8. 10.
[스크랩] 현생인류의 아라비아 반도 진출 시기 최소 8만5000년 전 현생인류의 아라비아 반도 진출 시기 최소 8만5000년 전 http://v.media.daum.net/v/20180410084214389 2018. 5. 30.
[스크랩] 현생인류 역사 바뀌나..`아프리카 탈출` 훨씬 빨랐다 현생인류 역사 바뀌나..`아프리카 탈출` 훨씬 빨랐다 http://v.media.daum.net/v/20180410143927619 2018. 5. 30.
[스크랩] 360만 년 전 조상들도 현생인류처럼 `직립보행`했다? 360만 년 전 조상들도 현생인류처럼 `직립보행`했다? http://v.media.daum.net/v/20180423083049531 2018. 5. 30.
[스크랩]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http://v.media.daum.net/v/20180503151039898 2018. 5. 30.
[스크랩] "청동기시대 인류도 B형 간염 앓았다" "청동기시대 인류도 B형 간염 앓았다" http://v.media.daum.net/v/20180510020007508 2018. 5. 30.
[스크랩] 현대인 두뇌의 절반 크기 `초기인류 뇌` 미스터리 풀다 현대인 두뇌의 절반 크기 `초기인류 뇌` 미스터리 풀다 http://v.media.daum.net/v/20180521030201534 2018. 5. 30.
美 원주민의 새로운 이주경로 발견 미국을 비롯해서 아메리카 대륙에 사람들이 언제 처음으로 살았을까? 오래동안 학자들은 미국에 처음 살았던 정착민을 클로비스(Clovis) 사람이라고 불렀으며, 북미 초기의 석기시대 문화를 클로비스 문화라고 한다. ‘클로비스’라는 이름은 1932년 뉴 멕시코의 클로비스(Clovis)에서 처음.. 2017. 11. 7.
“호모 사피엔스 나이는 35만년” “호모 사피엔스 나이는 35만년” 사이언스타임즈 이강봉 객원기자 출처: http://www.sciencetimes.co.kr/?p=169331&cat=36&post_type=news&paged=1 ‘호모 사피엔스(Homo Samience)’의 어원은 라틴어로 ‘지혜가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생물학에서 ‘현생인류’를 가리키는 말이다. 인류 진화과정에서 최종 .. 2017. 9. 30.
건조한 남부 아프리카에서 생존할 수 있었던 초기 인류의 능력 <NDSL> 초기 인류가 장기적으로 매우 건조했던 기후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다양한 문화적 혁신을 채택하여 변화하는 기후에 유연성 있게 대응했기 때문이다.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Wits University)을 비롯한 프랑스 CNRS1, EPHE PSL 연구 대학, 베르겐 대학의 고고학자, 고대 기후 학자.. 2017. 7. 27.
[스크랩] 인류학 뒤흔들 `호모 날레디`.."300만년 아닌 20~30만년전 생존" 인류학 뒤흔들 `호모 날레디`.."300만년 아닌 20~30만년전 생존" http://v.media.daum.net/v/20170426165200528 2017. 4. 26.
고흐의 점묘화법, 구석기시대에 발명 고흐의 점묘화법, 구석기시대에 발명 사이언스타임즈 김병희 객원기자 출처: http://www.sciencetimes.co.kr/?p=161416&cat=36&post_type=news&paged=52 새로 발굴된 3만8000년 전의 석회암 조각들에서 19세기와 20세기 미술가인 조르주 쇠라, 빈센트 반 고흐, 카미유 피사로, 로이 리히텐슈타인 등이 즐겨 사용.. 2017. 2. 27.
[스크랩] 4만 년 전 인류도 화장했다..동굴서 화장 도구 발견 4만 년 전 인류도 화장했다..동굴서 화장 도구 발견 http://v.media.daum.net/v/20161103172605456 2016. 11. 3.
인류의 기후변화 이주론 Late Pleistocene climate drivers of early human migration Axel Timmermann & Tobias Friedrich DOI:doi:10.1038/nature19365 On the basis of fossil and archaeological data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the exodus of Homo sapiens out of Africa and into Eurasia between ~50–120 thousand years ago occurred in several orbitally paced migration episodes. Crossing vegetated pluvial cor.. 2016. 9. 22.
사키타리(サキタリ洞) 동굴유적 2014년 오키나와(沖縄)현립박물관•미술관(나하시=那覇市)는 11일 동 현 난조시(南城市) 사키타리동(サキタリ洞) 유적지에서, 9천 년 이전보다 오래된 지층에서 머리와 상반신의 대부분이 남겨진 인골이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인골을 덮는 다량의 돌들이 발견된 점 등으로 보아, 박.. 2016. 9. 19.
170만년 전 인류 조상 발뼈에서 종양 Earliest hominin cancer: 1.7-million-year-old osteosarcoma from Swartkrans Cave, South Africa The reported incidence of neoplasia in the extinct human lineage is rare, with only a few confirmed cases of Middle or Later Pleistocene dates reported. It has generally been assumed that pre-modern incidence of neoplastic disease of any kind is rare and limited to benign conditions, b.. 2016. 7. 28.
3D 모델링을 활용한 호모 날레디(Homo Naledi) 유적지 동굴탐사 Scientists to determine how Homo Naledi ended up in Dinaledi Chamber 3D 모델링을 활용한 호모 날레디(Homo Naledi) 유적지 동굴 탐사 현재까지 아프리카 대륙에서 발견된 인류 화석 중 가장 큰 규모인 호모 날레디(Homo Naledi)는 남아프리카 카우텡(Gauteng) 지역에 있는 라이징 스타 동굴(Rising Star Cave)의 디날레디 .. 2016.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