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뉴스206 Bruniquel 동굴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불사용 능력 Early Neanderthal constructions deep in Bruniquel Cave in southwestern France -Bruniquel 동굴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불 사용 능력-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가장 오래된 동굴이었던 38,000년 된 Chauvet 동굴보다 더 오래된Bruniquel 동굴이 발견되었다. 이 동굴은 프랑스 남서부의 가론 주에 위치하며, 만들어진.. 2016. 6. 2. 세계서 가장 오래된 '5만 년 전 돌도끼' 1990년대에 호주에서 발견됐던 오래된 돌도끼가 무려 약 5만 년 전 선조가 만들고 사용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지면서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국 BBC 등 해외 언론의 11일자 보도에 따르면 이 돌도끼의 조각은 1990년대에 윈드자나 협곡 국립공원(Windjana Gorge National Park)에서 발견됐지.. 2016. 5. 11. 스페인 동굴서 '구석기시대 벽화' 무더기 발견 스페인의 한 동굴에서 구석기시대의 동굴 벽화가 무더기로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있다. 최근 AFP통신 등 외신은 스페인 바스크 지방에서 1만 2500년 전~1만 4500년 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동굴벽화 70점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이미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알타미라 동굴벽화와 .. 2016. 5. 8. 청동기시대의 전쟁 1996년 독일 북동부 톨렌제강에서 한 아마추어 고고학자가 발견한 위팔뼈로 위쪽에 돌화살촉이 박혀있다. 추가 발굴 결과 약 3200년 전 이곳에서 병사 수천 명이 뒤엉킨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음이 밝혀졌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역사보존과(MVDHP)/S. Suhr 제공 ‘톨렌제 계곡’으로 .. 2016. 5. 2. [스크랩] 네안데르탈인 남성, 호모 사피엔스 여성과 짝짓기해도 아들 못 낳아..멸종 원인 추정 네안데르탈인 남성, 호모 사피엔스 여성과 짝짓기해도 아들 못 낳아..멸종 원인 추정 http://v.media.daum.net/v/20160409130906701 2016. 4. 19. [스크랩] <과학> 북해서 네안데르탈人 화석 첫 발굴 북해서 네안데르탈人 화석 첫 발굴 http://v.media.daum.net/v/20090616082708947 2016. 4. 19. [스크랩] 네안데르탈人도 채소·곡식 조리해 먹었다 네안데르탈人도 채소·곡식 조리해 먹었다 http://v.media.daum.net/v/20101228140113363 2016. 4. 19. [스크랩] [문병도의 톡톡 생활과학]우리 몸 속에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 [문병도의 톡톡 생활과학]우리 몸 속에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 http://v.media.daum.net/v/20160328195508234 2016. 4. 19. [스크랩] "호모사피엔스, 개 덕분에 경쟁자 네안데르탈 물리쳤다" "호모사피엔스, 개 덕분에 경쟁자 네안데르탈 물리쳤다" http://v.media.daum.net/v/20150302111909842 2016. 4. 19. [스크랩] [IF] 뛰어났던 네안데르탈人은 왜 `우리의 조상` 호모 사피엔스에게 밀렸나 [IF] 뛰어났던 네안데르탈人은 왜 `우리의 조상` 호모 사피엔스에게 밀렸나 http://v.media.daum.net/v/20150425030510742 2016. 4. 19. [스크랩] "우울증·흡연 위험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에게서 물려받은 것" "우울증·흡연 위험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에게서 물려받은 것" http://v.media.daum.net/v/20160212163731606 2016. 4. 19. 네안데르탈인은 식인 습관 때문에 멸종한 것일까? Neandertaler: Ausgestorben wegen Kannibalismus? -네안데르탈인은 식인 습관 때문에 멸종한 것일까?- Joachim Czichos 네안데르탈 인들의 멸종에 대해서 현재까지 정확한 설명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아마도,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을 하지 못하여 경쟁 상대였던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개체수의 증가 비율.. 2016. 4. 6. 인간 - 지속불가능한 슈퍼포식자 The unique ecology of human predators 새로운 연구결과가 인간의 파괴력을 실감케 했다. 내용인즉, 인간은 다른 포식자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초식동물을 죽이지만, 대형 육식동물을 죽이는 능력은 다른 포식자들의 아홉 배라고 한다. 더욱이 물고기를 죽이는 능력은 무려 14배라고 한다. 이 같은 .. 2015. 9. 15. 매머드 멸종 진짜 이유는 인간의 사냥 탓 코끼리와 비슷하게 생긴 거대한 포유류인 매머드는 국내에서도 인기를 끈 미국 애니메이션 시리즈 ‘아이스에이지’의 단골 캐릭터로 등장할 만큼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이 멋진 동물은 20만년 전부터 남아메리카와 호주 등 아주 일부 지역을 빼고는 지구 전역에 광범위하게 걸쳐 .. 2015. 8. 16. 오찌(Otzi)의 마지막 식사 1991년 이태리 Tyrol 빙하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사냥꾼 오찌 (Otzi)는 죽기 전에 사슴과 야생 염소 그리고 곡식알을 먹었다. 이는 그의 장기 속에 남아있던 음식의 DNA 연구가 밝혀준 사실이다. 추위 속에서 시체는 잘 저장될 수 있다. 오찌의 경우가 좋은 증거가 될 수 있다. 오찌는 1991년 어.. 2015. 7. 2. 유럽이 예술의 기원?…인도네시아에 4만년 전 벽화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659039.html 2015. 7. 2. 유럽의 최초인류: 과학자들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유럽에 현생인류가 처음 모습을 나타낸 것은 약 45,000년 전으로 생각된다(http://www.nature.com/news/archaeology-date-with-history-1.10573). 지난 2년 동안 고유전체학과 고고학의 획기적 발달로 인해 `유럽의 최초인류`에 대한 연구에 혁명이 일어났다. 또한 그로부터 약 5,000년 후 홀연히 자취를 감춘 네.. 2015. 6. 24. 프랑스 아라고 동굴의 호모 에렉투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12/0200000000AKR20150612048400005.HTML?input=1179m 2015. 6. 12. 루시가 발견된 근처에서 새로운 초기인류종 화석 발견 흔히 루시 (Lucy)로 알려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Australopithecus afarensis)와 비슷한 시기에 같은 지역인 북부 이디오피아에서 340만년 전에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데이레메다 (Australopithecus deyiremeda)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루시의 이웃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화석화된 턱뼈와 .. 2015. 6. 2. 석기(石器) 사용 역사 70만년 당겨졌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5/23/2015052302342.html 2015. 5. 25. 4만년 전 ‘세계서 가장 오래된 팔찌’ 공개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509601010 2015. 5. 9. 크로마뇽+네안데르탈人 5만년전 두개골의 증언 http://news.donga.com/3/all/20150130/69365122/1 2015. 4. 30. 영장류의 파지 능력에 대한 새로운 해석 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cont_cd=GT&record_no=255997 2015. 4. 28. 뛰어났던 네안데르탈人은 왜 '우리의 조상' 호모 사피엔스에게 밀렸나.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24/2015042401605.html 2015. 4. 25.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330만 년 전 ‘최초의 석기’ 사용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424601024 2015. 4. 24. 세계 최고(最古)의 석기를 둘러싼 의문 케냐에서 발견된 세계 최고(最古)의 석기로 인해 "복잡한 도구 만들기는 호모 속(屬)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는 기존의 이론이 종말을 고하게 생겼다. 지난 4월 14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고인류학회 연례회의 석상에서 발표된 330만 년 전의 석기는 최초의 호모 속이 등장했던 .. 2015. 4. 23.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은 ‘날 음식’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423601020 2015. 4. 23. 유럽인들은 언제, 어떻게 흰 피부를 갖게 되었을까? 우리는 `유럽인들은 본래 피부가 흰색이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흰 피부, 큰 키, (성인이 되어도) 우유를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 등의 형질이 유럽에 나타난 것은 비교적 최근이라고 한다. 지난주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렸던 미국 자연인류학회 .. 2015. 4. 7. 구석기시대, 물잔으로 두개골 사용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6698 2015. 4. 2. 50만년 전 구석기 시대 도축용 ‘돌 도구’ 발견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323601010 2015. 3. 23.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