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 & 플라스캠프877 "스페인 동굴서 5천600년 전 신석기 집단 식인행위 증거 발견" [사이테크+] "스페인 동굴서 5천600년 전 신석기 집단 식인행위 증거 발견"(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스페인 아타푸에르카 산맥의 동굴에서 후기 신석기 시대인 5천600년 전 사람들이 집단으로 다른 사람들의 시신을 해체하고 먹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해가 무더기v.daum.net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5-10266-w Scientific Reports, Gerard Campeny et al., 'Evidence of neolithic cannibalism among farming communities at El Mirador cave, Sierra de Atapuerca, Spain', 2025. 8. 8. 4만년 전 멸종된 네안데르탈인, 자외선 차단제 썼다면 살았다? 4만년 전 멸종된 네안데르탈인, 자외선 차단제 썼다면 살았다?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7만년 전부터 아프리카에서 유라시아 대륙으로 이주했다. 유라시아엔 먼저 정착한 인류들이 있었다. 인류의 사촌들인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이v.daum.net 4만1천년 전 자외선 차단 기술 없어 네안데르탈인 멸종?(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지금으로부터 4만1천년 전,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부터 지구 표면에 쏟아지는 자외선과 우주 방사선이 갑자기 폭증했다. 그로부터 1천년 후 네안데르탈인(호v.daum.net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q7275Wandering of the auroral oval 41,000 years agoAbstra.. 2025. 8. 7. 뇌 효소 유전자,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운명 갈랐다 뇌 효소 유전자,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운명 갈랐다인간 진화사에서 현생 인류와 가장 가까운 고인류는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이다. 이들은 약 60만년 전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갔다. 아프리카를 떠난 두 고인류의 공통조상은 40만년 전v.daum.net PNAS(2025), DOI: https://doi.org/10.1073/pnas.2508540122 2025. 8. 6. 2025년 상반기 플라스캠프 체험 콘텐츠 인기 품목 순위 리스트 플라스캠프에서 2025년 상반기 동안 가장 많이 찾으셨던 체험콘텐츠 판매순위입니다.플라스캠프는 다양한 체험콘텐츠들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좋은 제품들이 보다 많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 # E-8 청동기시대 청동거울 만들기 체험세트(1세트 10개)청동기시대 청동거울을 모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청동거울은 청동기시대 부터 등장하여, 초기철기시대 및 조선시대까지 오랜기간 동안 제작되어 온 유물입니다.본 제품은 현재plascamp.com 2 # C-1 반달형 돌칼, # C-5 삼각형 돌칼 만들기 체험 세트(반달돌칼 만들기 체험교구)# C-1 반달형 돌칼, # C-5 삼각형 돌칼 만들기 체험 세트(반달돌칼 만들기 체험교구) 이 제품은 제작완료 후 실제.. 2025. 7. 30. 2025년 하계방학 중국 남부 문화유산 탐방(국립목포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 문화유산전공) 고고문화인류학과(문화유산 전공)에서는 07.03. ~ 07.09. 6박 7일간 중국 남부지역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지역은 광저우(광둥성)와 샤먼, 취안저우(푸젠성)를 다녀왔습니다.현재 중국 지역구분에는 없지만 과거 영남지방, 화남지방이라고 불리는 곳입니다.광저우는 기원전 204년 남월국 성립 이후 중국 남부의 중심 도시이자 해상 무역의 요충지로서 동아시아 해양 교류의 핵심 거점으로자리잡아 왔습니다.특히 명·청대에 이르러 해상 실크로드의 중심지로 성장하였으며, 1757년 청나라가 광저우를 유일한 대외 무역항(일구통상, 一口通商)으로 지정하면서 황포고항, 십삼행, 월해관 등에서 활발한 해양교류가 이루어졌습니다. 광저우의 역사는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후 세력을 확장하면서 중국 역사에 편입되었습니다.이 지역을.. 2025. 7. 26. 베일 벗은 데니소바인 얼굴…두개골 첫 확인 베일 벗은 데니소바인 얼굴…두개골 첫 확인네안데르탈인과 함께 현생 인류의 또 다른 사촌으로 꼽히는 데니소바인의 얼굴 특징을 짐작할 수 있는 두개골이 확인됐다. 2008년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손가락뼈 화석이 발v.daum.netDenisovan mitochondrial DNA from dental calculus of the >146,000-year-old Harbin cranium.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5)00627-0 2025. 6. 26. 2025년도 1학기 국립목포대학교 문화유산전공 춘계답사(강원도 일원) 2025년 05월 28일 ~ 05월 30일(2박 3일) 답사지역 : 문경-제천-양양-강릉 이번 춘계답사는 강원도 강릉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습니다.특히 국가무형유산인 강릉 단오제 행사 참여를 위해 기획하였으며 2일차부터는 단오제 축제에 참여하였습니다.단오제는 음력 4월 보름 대관령 산신제-국사성황제, 구산서낭제, 학산서낭제, 봉안제, 영신제-영신행차 순으로 시작합니다. 이번 답사는 영신제-영신행차-조전제를 견학하였고 단오굿의 시작인 문굿, 청좌굿을 견학하고 다음날 부정굿과 화회동참굿, 조상굿을 견학했습니다. 1일차 문경-문경새재 옛길박물관, 석탄박물관(에코월드)제천-의림지 2일차양양 - 양양 오산리유적 박물관강릉 - 강릉 단오제 3일차강릉 - 강릉 초당동 유적 일대, 강릉 단오제 2025. 6. 2. 2025년도 1학기 국립목포대학교 캠퍼스 진로진학박람회(이문콘텐츠학부 문화유산전공) 2025년 5월 9일 목포대학교 체육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본 사업은 2024년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5. 5. 10. 2025년도 1학기 국립목포대학교 문화유산 전문가 특강(정형민 감독) 2025. 5. 8. 2025년도 1학기 국립목포대학교 문화유산 전문가 특강(문화-공적개발원조와 문화유산 분야의 역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키르기즈 디지털문화자원관리시시템 구축 관련 주요 쟁점과 전망(전봉수 연구사) 2025. 4. 30. "대만서 발견된 호미닌 턱뼈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남성" [사이테크+] "대만서 발견된 호미닌 턱뼈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남성"(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최대 19만년 전 홍적세(Pleistocene)에 대만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호미닌(사람족)의 아래턱뼈 화석이 멸종한 조상 인류인 남성 데니소바인(Denisovan)의 것으로 밝v.daum.net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s3888 Denisovans inhabited Taiwan, new fossil evidence suggestsAn expanding geographic range for these close Neandertal relatives leaves Denisovans' evolutionary status uncertain.www.science.. 2025. 4. 11. Direct hydroxyproline radiocarbon dating of the Lapedo child (Abrigo do Lagar Velho, Leiria, Portugal) [오리진] 2만8000년 전 혼혈 인류 ‘라페도 아이’ 살았다현생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는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에 먼저 정착한 네안데르탈인과 한동안 공존했다. 그 사이 서로 피도 나눴다. 그렇다면 두 인류는 언제부터, 그리고 얼마나v.daum.net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p5769 2025. 3. 8. "15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 아프리카 열대우림 거주 확인" [사이테크+] "15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 아프리카 열대우림 거주 확인"(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인류 진화 역사에서 비교적 근래까지 인류가 살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지던 아프리카 열대우림에서 15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가 살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처v.daum.net https://doi.org/10.1038/s41586-025-08613-y 2025. 2. 25. 2025년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구석기실 석기제작 영상(저용량) 주먹도끼제작슴베찌르개 제작 흑요석 돌날석기 제작 2025. 2. 24. 2025년 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 전시 리뉴얼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인류 삶·스토리 담은 역사 공간으로 재탄생(종합)[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이 선사시대부터 고구려까지 한반도 인류의 삶을 유적과 영상으로 구현한 역사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층 상설전시관v.daum.net 2024년 8월부터 지난 6개월 동안 국립중앙박물관 함께한 선사, 고대관 리뉴얼 프로젝트에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이 함께하여 2025년 2월 15일 언론 사전공개행사를 드디어 진행하였습니다.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오랜 기간동안 전시와 관련된 콘텐츠들을 구상하고 제작, 연구해 온 보람을 느낌니다. 다양한 방식의 유물재현과 스토리, 촉감체험물 등을 학예사 선생님들과 의논하면서 기존의 전시구조를 탈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트랜드는.. 2025. 2. 17. # O-5 선사시대 돌도끼 키링(1세트 10개) 선사시대(신석기, 청동기시대) 돌도끼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축소모형 키링입니다. 본 제품은 실물 돌도끼를 축소모형으로 제작되었습니다.가방고리에 걸 수 있는 키링으로 사용가능하며 책상 및 탁자 등의 전시용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1세트 (10개) - 10만원(개당 1만원)10세트(100개) - 95만원(개당 9천5백원)20세트(200개) -180만원(개당 9천원) 주문서 및 견적요청서※ 주문 접수 공지 사항 ※주문 접수 불가 기간은 누적된 주문건수와 수량, 납품일에 따라 수시로 변동됩니다. 하단 별도의 날짜 표기가 없으면 상시 접수가능합니다. 까지 납품받아야 되는 주plascamp.com크라프트 배경판에 있는 점선을 따라 접어 전시받침대를 만들어 전시할 수 있습니다.키링으로 사용하지 않고 전시용으로.. 2025. 2. 4. # 148 구석기시대 슴베찌르개 제작 혼펠스제 돌날을 가공한 슴베찌르개 제작 2025. 1. 16. # 147 제주 고산리유적 출토 신석기시대 타제석촉 제작 제주 고산리유적에서 출토된 타제석촉을 제작하여 화살로 복원 2025. 1. 15. # 146 후기구석기시대 결합식 흑요석 돌날석기 제작 흑요석 돌날을 이용한 돌날석기제작 2025. 1. 14. # 145 구석기시대 흑요석 돌날 제작 후기구석기시대 돌날을 제작하기 위한 단계별 과정 연출 2025. 1. 13. # 144 구석기시대 주먹도끼 제작(촉감체험용) 규암제 자갈돌을 가공하여 구석기시대 주먹도끼 제작관람객들이 직접 만져보고 석기가장자리날 부분을 너무 날카롭지 않게 제작 2025. 1. 9. # 143 청동기시대 돌도끼(마제석부) 제작 논산 마전리유적에서 출토된 참나무제 도끼자루를 실물모형으로 제작복원 2025. 1. 8. # 142 청동기시대 자귀제작 전시연출을 위해 실제로도 사용가능한 돌자귀 제작 2025. 1. 7. # 141 연대도 패총 및 암사동 유적 출토 신석기시대 토기제작(촉감체험용) 실물모형으로 제작하여 태토 및 소성을 유물과 동일하게 제작촉감체험용으로 제작 2025. 1. 6. # 140 신석기시대 가락바퀴 재현품 제작(암사동 유적) 서울 암사동 신석기시대유적에서 출토된 가락바퀴를 실물모형으로 제작 소성하여 제작천연끈을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제로 꼬아서 제작한 후 전시연출 2025. 1. 5. <섬 바다와 미래를 잇다> | 2026여수세계섬박람회특별기획-여수MBC 지난 10월 7일 여수MBC 촬영팀이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에 방문해 주셔서 서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석기문화에 대한 인터뷰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특별기획 다큐멘터리는 2024년 12월 30일 오후 6시 05분 방송분으로 편성되었습니다.아래 유튜브 링크를 통해서도 시청가능합니다. 2024. 12. 31. # 139 사적 제375호 광주 신창동유적 출토 검초(칠초) 재현품 제작 기존 복제된 신창동유적 출토품의 경우 전문적인 지식 없이 단순 형태만 중심으로 복제한 것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잘못 제작된 복제품들이 대다수임실제 유물과 동일한 재료와 제작방식으로 원형 그대로 제작자작나무 수피와 주석, 옻칠로 장식 마감한 신창동유적 출토 칠초 제작복원 2024. 12. 21. # 138 청동기시대 지석묘 상석 끌기 야외 체험물 전북지역 박물관 야외 체험장에 아이들 전용 지석묘 상석 끌기 체험콘텐츠를 제작하였습니다.수라틀과 지석묘 상석 모형 총 무게를 100kg 으로 제작하여 아이들이 쉽게 상석을 끌어 볼 수 있는 체험 콘텐츠입니다.전국의 박물관 야외 체험장에 실제 암석을 이용한 지석묘 상석 끌기 체험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만 무게가 4~500kg 나가는 체험물을 쉽게 끌기에는 어렵고 활용도가 낮아 방치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지석묘 상석끌기 체험콘텐츠의 활용도와 체험효과를 높이고자 소수의 체험객들만으로도 체험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습니다. 또한 지석묘 상석을 채석하고 치석한 흔적들을 바위모형에 남겨 지석묘를 끌기 체험과 함께 상석을 가공한 흔적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교육적 효과를 높였습니다. 2024. 12. 20. 벽돌식 개방형 가마의 제작과 선사시대 토기 소성 개방형 벽돌가마를 이용하여 선사시대 노출형 산화방식의 토기소성을 진행하였습니다.개방형 가마는 산화와 환원이 가능하며 선사시대 토기 뿐만 아니라 역사시대 토기들도 소성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개방형의 노출가마의 소성온도는 최고 850도에서 870도까지 가능하며 환원소성할 경우 1100도까지 가능하였습니다. 2024. 12. 17.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4만 9000년 전 첫 사랑 나눴다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4만 9000년 전 첫 사랑 나눴다아프리카에서 이동한 초기 현생인류인 호모사피엔스와 유럽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의 교배가 시작된 것은 기존 학계가 추정했던 시기보다 최근과 가깝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모 사피엔스v.daum.net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q3010 2024. 12. 13. 이전 1 2 3 4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