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자바섬 호모 에렉투스 분석 논문, 네이처지 등재
(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두 발을 땅에 딛고 걸었던 직립원인(直立猿人) 호모 에렉투스가 25만 년 전에 사라진 것이 아니라 불과 10만년 전까지 살았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나왔다.
![러셀 시오촌 교수와 자바섬의 호모 에렉투스 유골 [AP=연합뉴스]](https://t1.daumcdn.net/news/201912/19/yonhap/20191219120130339vqit.jpg)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 인류학 교수 러셀 시오촌과 연구팀은 18일(현지시간)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자바섬 마지막 호모 에렉투스, 11만 7천년∼10만 8천년 전'이란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
그동안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생겨나 25만 년 전까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오촌 교수 연구팀은 1931∼1933년 인도네시아 자바섬 중부 솔로강 유역의 응간동(Ngandong)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두개골과 다리뼈 등 유골의 나이를 분석했다.
앞서 여러 연구팀이 유골의 연대를 측정하려고 시도했으나, 주변 지질 상황이 복잡해 정확한 연대를 알아내기 어려웠다.
![러셀 시오촌 교수팀, 인니 자바섬 현장 조사 [AP=연합뉴스]](https://t1.daumcdn.net/news/201912/19/yonhap/20191219120130416tvlh.jpg)
시오촌 교수 연구팀은 유골이 발견된 지점의 퇴적물을 새로 분석하고 동물 뼈 화석 등을 활용해 연대측정법을 적용한 결과 호모 에렉투스 유골이 11만 7천년∼10만 8천년 이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시오촌 교수는 BBC방송과 인터뷰에서 "우리가 밝혀낸 것보다 더 정확한 연대를 추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호모 에렉투스가 아프리카에서는 50만년 전, 중국에서는 40만년 전에 사라졌지만,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는 10만년 전까지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했다.
![네이처지에 등재된 시오촌 교수 연구팀 논문 [네이처 홈페이지]](https://t1.daumcdn.net/news/201912/19/yonhap/20191219120130526qouh.jpg)
시오촌 교수는 "자바섬의 초원지대가 열대우림으로 변하면서 호모 에렉투스가 적응하지 못해 사라진 것으로 믿는다"며 "이후 호모 사피엔스가 3만9천년 전 자바섬에 출현할 때까지 다른 인류의 활동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호모 사피엔스는 열대우림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호미닌(분류학상 인간의 조상으로 분류되는 종족)"이라며 "도구를 만드는 능력이 주된 이유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noanoa@yna.co.kr
'고고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방파제' 이스라엘서 7천년 전 돌로 쌓은 방파제 흔적 발견 (0) | 2019.12.19 |
|---|---|
|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현대 인류가 일으킨 질병 때문일까 (0) | 2019.12.19 |
| 5700년 전 껌서 DNA 추출..고대인류 전체 게놈 해독 성공 (0) | 2019.12.18 |
| 4만4천년전 인니 동굴벽화..'세계서 가장 오래된 예술' (0) | 2019.12.13 |
| 신석기시대 한반도에서도 '옻' 사용했다 (0) | 2019.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