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고고학250

#64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유적 볍씨자국 토기 복원 대평리유적에서 출토된 볍씨자국 토기 토기제작 때 토기저부에 볍씨 낱알이 박힌체로 구워져 농경과 토기의 저장단지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높이 15cm 2013. 4. 9.
#63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유적 출토 나무망치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끌망치 목공용으로 끌을 이용하여 조각할때 때리는 망치이다. 길이 : 25cm 판매완료 2013. 4. 9.
#62 삼국시대 부여 궁남지 출토 나무방망이 삼국시대 나무방망이 복원 주로 목공용으로 끌망치로 쓰는 용도로 사용된다. 길이 : 30cm 2013. 4. 9.
#61 삼국시대 부산 고천리유적 출토 절구통 복원 삼국시대 절구통의 복원 통원목을 다듬어 절구통을 제작하였다. 절구통 높이 : 34cm 지름 : 35cm 2013. 4. 9.
#60 삼국시대 부산 고천리유적 출토 절굿공이 복원 삼국시대 절굿공이의 복원 길이 : 105cm 2013. 4. 9.
#59 청동기시대 여주 흔암리유적 출토 보습 복원 청동기시대 보습의 복원 플라스갤러리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들은 제작후 직접 사용해보고 내구성과 성능이 검증된 제품만 판매합니다. 괭이 길이 : 32.5cm 자루복원길이 : 135cm 2013. 4. 9.
#58 청동기시대 경주 황성동유적 출토 돌칼 부산, 경남지역의 돌칼의 특징인 "ㄱ"자형 돌칼의 복원 주걱칼이라고도 하며 수확구 또는 다용도의 돌칼로 해석하고 있다. 석기길이 : 15cm 2013. 4. 8.
#57 청동기시대 곡성 현정리출토 낫 청동기시대 돌낫의 복원 석기길이 : 20cm 자루복원길이 : 35cm 2013. 4. 8.
#56 신석기시대 청도 오진리유적 출토 돌괭이 복원 청도 오진리유적에서 출토된 돌괭이의 복원 신석기시대 초기 농경을 위한 농경도구의 모델을 볼 수 있다. 석기길이 : 22.5cm 자루복원길이 : 97cm 2013. 4. 8.
#55 신석기시대 황해도 봉산 지탑리유적 출토 돌낫 북한 황해도 봉산 지탑리유적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돌낫 복원 선사시대 돌낫의 초기모델이며 가장 빠른시기에 이미 낫의 형태가 정형화 된것을 보여준다. 길이 : 24cm 2013. 4. 8.
#54 신석기시대 충주 조동리유적 출토 굴지구 복원 신석기시대 굴지구의 복원(집자리구멍 및 수혈구멍을 팔때 매우 효과적인 도구) 플라스갤러리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들은 제작후 직접 사용해보고 내구성과 성능이 검증된 제품만 판매합니다. 석기 길이 : 20.6cm 판매완료 2013. 4. 8.
#53 청동기시대 안동 저전리유적 출토 나무절굿공이 복원 청동기시대 절굿공이가 처음 출토된 저전리유적 복원품 길이 : 150cm 2013. 4. 8.
#52 청동기시대 영암 장천리유적 출토 돌끌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목공구인 돌끌의 복원 길이 각각 : 9.5cm, 15cm 2013. 4. 3.
#51 신석기시대 영선동유적 출토 융기문토기 신석기시대 영선동유적에서 출토된 융기문토기의 복원 높이 : 12cm 둘레 : 13.5cm 판매완료 2013. 4. 3.
#50 신석기시대 통영 연대도 패총유적 출토 주칠토기 복원 신석기시대 주칠토기의 복원 높이 : 20.3cm 둘레 : 16cm 판매완료 2013. 4. 3.
#49 신석기시대 통영 연대도패총유적 출토 융기문토기 복원 연대도패총유적에서 출토된 융기문 토기의 복원 토기높이 : 9.6cm 토기둘레 : 17.5cm 판매완료 2013. 4. 3.
#48 삼국시대 양장리유적 출토 나무의자 전남 무안 양장리 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목제의자의 복원통원목을 깍아 일체형으로 제작된 초기철기시대의 의자제작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다만 이 목재유물은 기능에 있어 의자 또는 도마 등 다양한 해석에 있다.상판 장축길이 : 38.4cm높이 : 14.5cm 2013. 4. 2.
#47 초기철기시대 양장리유적 출토 괭이 복원 양장리유적에서 출토된 목제괭이의 완형 복원 한쪽가지가 파손된 체로 출토된 양장리유적 괭이를 추정하여 완형으로 복원 길이 : 39.4cm 판매완료 2013. 4. 2.
#46 초기철기시대 양장리유적 고무래 재현 전남지역 초기철기시대 대표적인 유적인 양장리유적 출토 고무래 복원자루는 추정복원가로길이 : 74.6cm 2013. 4. 2.
#44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유적 평괭이 복원 초기철기시대 대표적인 농기구인 평괭이의 복원 전체길이 : 91cm 2013. 4. 2.
#43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유적 출토 괭이 복원 초기철기시대 저습지 유적에서 발견된 목제괭이 쇠스랑형 괭이의 복원 괭이길이 : 30.5cm 자루길이 : 100cm 판매완료 2013. 4. 2.
#42 후기구석기시대 슴베찌르개의 복원 후기구석기시대 대표적인 사냥도구인 슴베찌르개의 복원 돌날을 소재로 한 슴베가 달린 첨두형 석기. 돌날몸돌에서 떼어낸 돌날을 가지고 제작 석기길이 : 8cm 판매완료 2013. 4. 2.
#41 청동기시대 송국리유적 출토 낫 복원 청동기시대 마을 유적인 송국리유적에서 출토된 돌낫의 복원 석기길이(가로길이) : 25.2cm 자루복원길이 : 42cm 2013. 4. 1.
#40 구석기시대 석기제작과정 연출 구석기시대 석기제작과정 연출에 필요한 전시 소품들 양면찍개 제작과정 연출 구성품 : 양면찍개, 망치돌, 뿔망치, 모룻돌, 격지, 후기구석기시대 돌날몸돌 고정틀, 뿔 눌러떼기도구 등 2013. 4. 1.
#39 청동기시대 곰배괭이 복원 진주 상촌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곰배괭이 복원 괭이길이 : 18.5cm 자루복원 길이 : 80cm 판매완료 2013. 4. 1.
#15 신석기시대 강릉 지경동유적 출토 갈판, 갈돌 복원 영동지역 대표적인 신석기시대 유적인 강릉 지경동유적 출토 갈돌과 갈판을 복원한 예 갈판길이-47.1cm 갈돌길이-35cm 재질-사암 판매완료 2013. 3. 13.
실험고고학-토기수리 소성과정에서 깨진 토기를 수리하기 위한 작업 깨진면에 송진을 녹여 접착하고 수리공을 내어 끈으로 결속 2013. 3. 13.
2013년도 1차 토기소성작업 오전 10시에 시작된 소성작업이 오후 2시경에 끝남. 약 4시간의 소성과정을 통해 올해 첫 토기소성이 무사히 마무리 약 13년동안 토기소성을 위해 노천장으로 이용하는 장소 토기소성을 위해 바닥에 땔감과 잡석을 까는 작업 노지주변의 땔감을 둘러쌓는 작업 노지의 산소유입구를 마련 .. 2013. 2. 23.
청동기시대 마제석창(울산 천상리유적 및 경주 황성동 유적) 재현품 청동기시대 마제석창 복원품-울산 천상리유적과 경주 황성동유적 출토품 흑색셰일(석제)과 소힘줄(자루 결속끈), 송진(천연접착제)을 이용하여 석창의 자루(자작나무)와 제작 석창의 슴베부분(경부)의 폭은 자루와 결속되는 지름의 최대넓이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복원이 이루어짐. 복원된 석창 완성품은 총 길이 3m임 2013. 2. 21.
청동기시대 청동도끼 토제용범(청동거푸집) 청동기시대 청동도끼를 제작하기 위한 주조용 토제용범 토제용범의 존재가능성은 고고학계에서 연구적으로 검토된적이 있지만 아직 확실한 토제용범틀이 유적에서 확인된 적은 없다. 청동기시대 및 철기시대 용범은 대부분 활석이나 각섬암 등을 용범틀로 제작하여 주조품을 제작하고.. 2013.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