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제작11 2025년 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 전시 리뉴얼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인류 삶·스토리 담은 역사 공간으로 재탄생(종합)[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이 선사시대부터 고구려까지 한반도 인류의 삶을 유적과 영상으로 구현한 역사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층 상설전시관v.daum.net 지난해 6개월 동안 국립중앙박물관 함께한 선사, 고대관 리뉴얼 프로젝트에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이 함께하여 2025년 2월 15일 언론 사전공개행사를 드디어 진행하였습니다.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오랜 기간동안 전시와 관련된 콘텐츠들을 구상하고 제작, 연구해 온 보람을 느낌니다. 다양한 방식의 유물재현과 스토리, 촉감체험물 등을 학예사 선생님들과 의논하면서 기존의 전시구조를 탈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트랜드는 우리나라 박물관 .. 2025. 2. 17. #124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대 토기의 박물관 전시연출 -토기의 활용과 효과적인 전시연출을 위한 화덕제작 -화덕은 암사동유적을 모티브하여 모래밭 위에 토기를 받쳐줄 수 있는 자갈돌을 넣어 토기를 세운다음 불을 지펴 사용하고 있는 형상을 연출 2017. 3. 9. #49 신석기시대 통영 연대도패총유적 출토 융기문토기 복원 연대도패총유적에서 출토된 융기문 토기의 복원 토기높이 : 9.6cm 토기둘레 : 17.5cm 판매완료 2013. 4. 3. 실험고고학-노천에서의 점토채취 실험고고학 선사시대 토기제작을 위한 강가 주변 퇴적층의 점토채취. 강 주변 퇴적층은 토기제작을 위한 최적의 재료이다. 오랜시간 퇴적되어 온 점토층은 선사시대부터 오랜기간 동안 토기를 제작하기위한 중요한 공급원이었으며 또한 모래도 쉽게 구할수 있는 최적지였음. 강주변의 .. 2013. 1. 4. 청동기시대 가지문토기 - 가지문토기, 채색토기 등으로 불리는 청동기시대 의례용 토기 2011. 10. 29. 2011년 9월17일 4차 토기소성 - 2011년 올해 들어 4번째 토기소성작업 실시 - 소성전에 건조된 상태에서 목탄으로 코팅 - 한가지 생각한 실험을 염두해두고 소성한 상태 - 소성과정 후에 목탄으로 덪칠했던 부분들이 없어진 상태 - 약 500도 전후에서 1차소성시에 따로 빼내어 목탄으로 재 작업예정 2011. 9. 27. 선사시대 토기수리-수리공의 제작과 이해 - 선사시대 대표적인 천공도구인 뚜르개를 이용하여 수리공 제작 -과거 신석기시대 토기와 청동기시대토기에서 확인되는 동체부의 구멍들이 줄을 걸기위한 매듭구멍으로 잘못알려져 있었으나 이것은 외벽에 금이간 균열들을 메우기 위한 수리공의 흔적들임 -먼저 메우는 과정에서 송진.. 2011. 9. 23. 2011.09.05 토기소성실험 늦은 오후 바람이 조금 불긴 했지만 적당한 산소주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고 선사체험장에서 소성실험 진행 작년 겨울에 제작된 토기를 오랜시간 건조후 일요일 오후 드디어 구워보기로 결심 구울 토기는 크기가 작은 토기들만 선별하여 총 14점만 우선 구워보기로 함. 혼자서 작업하.. 2011. 9. 5. 선사체험장 토기제작(2010.04.11) 2010. 4. 14. 목포대학교 선사체험장 야외노지(토기소성실험2004.07.19) 야외노지에서의 최고 소성온도 데이타(정밀온도계측기 결과) 2004. 8. 12. 2004년 4월 토기제작(송국리형토기) 2004. 4.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