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8 2025년 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 전시 리뉴얼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인류 삶·스토리 담은 역사 공간으로 재탄생(종합)[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이 선사시대부터 고구려까지 한반도 인류의 삶을 유적과 영상으로 구현한 역사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층 상설전시관v.daum.net 지난해 6개월 동안 국립중앙박물관 함께한 선사, 고대관 리뉴얼 프로젝트에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이 함께하여 2025년 2월 15일 언론 사전공개행사를 드디어 진행하였습니다.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오랜 기간동안 전시와 관련된 콘텐츠들을 구상하고 제작, 연구해 온 보람을 느낌니다. 다양한 방식의 유물재현과 스토리, 촉감체험물 등을 학예사 선생님들과 의논하면서 기존의 전시구조를 탈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트랜드는 우리나라 박물관 .. 2025. 2. 17. 2024년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전시보조 영상물 촬영 2024년 선사고대관 전시실 재개관 준비중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람객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전시보조 영상물 촬영을 의뢰해주셨습니다.아이라이크픽쳐스(iLIKE PICTURES)와 협업으로 진행된 이번 촬영은 실력있는 김진석 감독님과 촬영팀이 직접 본 연구원에 방문해 주시어 오전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2시까지 15시간 이상 강행군으로 촬영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촬영세팅과 좋은 영상을 담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해주신 영상팀 여러분 고생많으셨습니다. 우리나라 대표 박물관인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전시실에 4k 세로형 디스플레이에 무한재생(?)될 본 영상물을 통해 관람객들이 선사시대 유물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24. 10. 23. 국립중앙박물관-신석기시대 결합식 낚시바늘과 그물 복원예 중앙박물관의 가장 큰 고민과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전시 연출예국립박물관 특유의 단조로움과 깔끔함은 오히려 관람객들에게 박물관의 분위기와 관람 동선에 효과적이지만 이해와 해석을 가져다 주는데 많은 제한이 따른다.하지만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상황과 전..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신석기시대 주거지 출토 석재 작살 복원예 신석기시대 작살을 이용한 어로행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마찬가지로 아크릴을 이용하여 작살자루를 단순히 연출전시 연출한 예는 작살머리만을 연출하여 이중식 작살을 의도한 것인지, 아니면 자루부분을 생략한 것인지 알수가 없다.관람객들은 그러한 검증없이 무비판적으로 받..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을 이용한 결합식도구 복원품 세형돌날을 이용한 결합식도구의 복원 전시 예아크릴을 이용하여 나무나 골각기와 결합시킨 것을 대체하여 너무 단순화 하였다. 오히려 나무나 골각기와 결합하여 복원전시하는 것이 더 나을것 같다는 의견.관람객들은 사실 이런 전시의도가 무언지 모르고 지나간다.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후기구석기시대 슴베찌르개의 잘못된 복원 후기구석기시대 대표적인 사냥도구로 알려진 슴베찌르개 슴베찌르개를 복원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연출 한 예아직 슴베찌르개의 정확한 기능과 사용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없지만 대체적으로 화살촉 또는 창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창쪽 끝에 슴베찌르개를 복원하여 칡줄기를 ..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 청동기시대 화살복원 국립중앙박물관의 청동기시대 화살의 복원춘천 천전리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발굴된 자료를 복원한 전시 연출예화살대의 두께가 유적에서 출토된 싸리나무와의 구경이 맞지 않은 전시 예화살촉과 결부하는 가죽끈 역시 매듭법이 없이 접착제로 그럴싸하게 복원해 놓았다. 가장 어의없..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 신석기실 화살촉 전시예 국립박물관 특유의 정돈과 깔끔함이 뭍어나오는 전시연출 예 가장 큰 단점으로는 단순함에 있다. 배경을 통한 화살대의 복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며 유물들이 돋보이지 않으며 전시장과의 거리가 있어 잘 보이지도 않는다. 2013. 3.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