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기제작76 2025년 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 전시 리뉴얼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인류 삶·스토리 담은 역사 공간으로 재탄생(종합)[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이 선사시대부터 고구려까지 한반도 인류의 삶을 유적과 영상으로 구현한 역사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층 상설전시관v.daum.net 지난해 6개월 동안 국립중앙박물관 함께한 선사, 고대관 리뉴얼 프로젝트에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이 함께하여 2025년 2월 15일 언론 사전공개행사를 드디어 진행하였습니다.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오랜 기간동안 전시와 관련된 콘텐츠들을 구상하고 제작, 연구해 온 보람을 느낌니다. 다양한 방식의 유물재현과 스토리, 촉감체험물 등을 학예사 선생님들과 의논하면서 기존의 전시구조를 탈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트랜드는 우리나라 박물관 .. 2025. 2. 17. 구석기시대 석기제작과정 영상(메이킹필름) 돌날떼기 돌날떼기 및 슴베찌르개, 유경식 찌르개 제작 주먹도끼 제작 2023. 4. 26. 돌날의 플런징(flunging) 오버스트라이킹(over striking)으로 인한 돌날의 플런징 현상 2016. 4. 27. 돌날몸돌의 돌날힌징(hinging) 2016. 4. 11. 흑요석-마호가니흑요석 마호가니 흑요석자료 2013. 1. 10. 헤르츠의 원추 흑요석 석기제작과정 중에 나타난 헤르츠의 원추 석기제작의 기본적인 물리법칙의 증거 2012. 8. 13. 석기제작-러시아 바이칼지역 중석기시대 석창 자료 2012. 1. 29. 석기제작-후기구석기 석창자료 - 평행박리기법으로 제작된 플린트제 석창 2012. 1. 29. 실험고고학-돌날몸돌 실험자료 2011. 12. 18. 석기제작-르발루아몸돌 자료 - 르발루아몸돌 실험과정(쳐트석재) 2011. 12. 14. 르발루아찌르개-르발루아 포인트 이미지 - 르발루아찌르개-르발루아 포인트 이미지 2011. 12. 12. 마제석검과 마제석창 실험제작(체험행사 교구자료) - 마제석검과 마제석창 실험제작(체험행사 교구자료) 2011. 11. 4. 청동기시대 마제석창 실험제작-교구사진 - 실험제작복원 - 현재까지 유물자료가 부족하여 형태적인 문제점이 있음 2011. 10. 26. 신석기시대 결합식 낚시축 제작-교구사진 신석기시대 낚시축 제작-고성문암리유적 출토유물을 모델로 실험복원 재질-찰절기법으로 세분화시킨 혼펠스 사슴뿔로 미늘이 달린 바늘 제작 중-결합방식에 문제점이 있음. 선사체험 모델화에 반드시 필요 2011. 10. 24. 청동기시대 유경식 마제석촉 복원 - 청동기시대 유경식 마제석촉 복원 2011. 10. 15. 선사체험용 타제석촉 제작-선사체험교구용 - 후기구석기시대 및 신석기시대 타제석촉 제작 - 눌러떼기를 통한 평행박리기법으로 제작 2011. 10. 13. 청동기시대 반달돌칼 실험제작-선사체험 교구 - 반월형석도제작, 혼펠스와 세일로 제작 - 천공작업에는 세일이 가장 무난. 천공도구로는 사슴뿔, 뼈, 대나무 등이 가장 효과적임. 이 외에도 결정질 석영(수정)이나 규암제 격지 등도 용이함. 2011. 9. 30. 직접떼기법에 의한 돌날제작 - 직접떼기법으로 돌날제작하기 2011. 9. 28. 비파형석검제작 - 비파형동검을 모델 - 점판암을 가공한 비파형석검 실험복원과정(나주 운곡동유적 출토품) - 돌대부분의 추가 마연이 필요 - 비파형동검의 원형 2011. 9. 27. 복원과정 중 반파된 석기들 - 석창 또는 화살촉 제작과정에서 반파된 석기들 2011. 9. 23. 석창제작과정 중의 반파되는 경우 - 석창제작에서 가장 힘든과정은 양면을 손질하기 위해 지나친 타격(over striking)으로 인한 석기의 손실 - 약 70% 의 작업과정이 진행된 이번 석창제작에서 두터운 손질면이 남아 타격을 위한 타격면을 조정한 다음 무릎떼기를 이용하여 박리시도 - 타격과정에서 석기 몸체쪽으로 타격방향.. 2011. 9. 23. 석기제작-르발루아포인트 - 쳐트 석재를 활용한 르발루아포인트 제작 2011. 9. 21. 덴마크 석검제작 - 덴마크지역의 독특한 타제석검문화와 제작과정 - 플린트를 이용하여 정교한 떼기작업이 이루어졌다. 2011. 9. 10. 클로비스의 복원과 제작 - 클로비스 제작과정 - 클로비스는 기본적으로 양면박리 및 정교한 눌러떼기 작업을 통해 석창의 형태로 성형한 후 살대의 결속부위를 풀루팅기법으로 떼어낸 사냥도구이다. - 결속부위를 효과적으로 성형하기 위해 북미지역의 특징적인 석기문화가 등장하게 되는데 플루팅기법을 통한 .. 2011. 9. 10. 처트제 돌날 - Chert blade from Grotte du Placard, France - 플래카드 동굴에서 발견된 돌날 2011. 9. 10. 아틀라틀-클로비스의 제작 -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의 특징적인 석창문화 - 폴섬문화와 더불어 석창을 제작한 후 fluting technique 통해 살대에 끼울수 있는 홈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2011. 9. 9. 일본 홋카이도 시라타키유적 출토 양면석기 - 홋카이도 시라타키(Shirataki)유적 출토 대형양면석기 - 길이 : 약30cm - 후기 이와주쿠시기 - B.P 14,000 2011. 9. 9. 타제석촉제작 - 격지를 활용한 타제석촉 제작과정 - 타제석촉 제작에 적합한 격지선택 석촉제작과정의 중간 단계-성형다듬기 및 잔손질(눌러떼기) 눌러떼기작업 후 완성단계 2011. 9. 4. 후기구석기시대 흑요석제 세형몸돌 제작-교육용 - 후기구석기시대 흑요석 세형몸돌 복원. 선사체험의 석기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인 교육과정 중의 하나로 필수적인 코스로 필요 - 아랫능선조정과 타격면 조성, 적절한 작업면 선정, 눌러떼기 각도등이 필수적임 - 일반적인 돌날제작(고례리유적)은 눌러떼기 작업보다 뿔망치로 직접떼기.. 2011. 9. 1. 끝날긁개 제작과 새기개 2011. 8.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