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돌칼5

#58 청동기시대 경주 황성동유적 출토 돌칼 부산, 경남지역의 돌칼의 특징인 "ㄱ"자형 돌칼의 복원 주걱칼이라고도 하며 수확구 또는 다용도의 돌칼로 해석하고 있다. 석기길이 : 15cm 2013. 4. 8.
#25 청동기시대 반월형돌칼 재현품 신석기시대 돌칼의 등장 이후 청동기시대에는 반월형 돌칼, 삼각형 돌칼 등 다양한 형태가 등장하게 됩니다. 농경의 증거와 가장 관련이 깊고 돌낫과 마찬가지로 수확구의 기능과 조리를 위한 가공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해석되고 있는 유물입니다. 다양한 형태와 기법.. 2013. 3. 24.
#11 청동기시대 마제석검 제작(돌칼제작) 청동기시대 유경식 마제석검의 복원제작 흑색셰일을 가공하여 전면마연한 마제석검-청동기시대 지석묘에서 흔히 출토되는 형태 제작기간은 약 2주 석검길이 : 약 32cm 석검날 폭 : 약 6cm 2013. 2. 13.
실험고고학-선사시대 돌칼제작 선사시대 돌칼의 실험복원제작 긴 돌날을 이용하여 사슴뿔 손잡이에 결합한 돌칼 중기구석기시대를 거쳐 후기구석기시대에 등장하는 돌칼형태 한쪽날은 긁개날과 다른 한쪽날은 칼날이 조성되어 있다. 2013. 1. 8.
청동기시대 반달돌칼 실험제작-선사체험 교구 - 반월형석도제작, 혼펠스와 세일로 제작 - 천공작업에는 세일이 가장 무난. 천공도구로는 사슴뿔, 뼈, 대나무 등이 가장 효과적임. 이 외에도 결정질 석영(수정)이나 규암제 격지 등도 용이함. 2011.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