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 & 플라스캠프838

#14 청동기시대 자귀복원 청동기시대 주요 목공구 중인 하나인 자귀 복원 한쪽면만 마연하여 급격하게 각도를 세운 도구 나무의 홈을 조성하거나 한손으로 간단한 작업을 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 자귀길이 : 11cm 자귀날폭 : 5cm 전체길이(자루포함) :약 42.5m 판매완료 2013. 3. 12.
국립중앙박물관-청동기시대 돌도끼의 복원 예 청동기시대 농경 및 벌채도구의 전시 예. 모두 고고학적으로 귀중한 유물이다. 역시 관람객들도 박물관 전시장 너머의 귀중한 유물로만 바라본다. 물론 박물관에 전시될 정도면 귀중한 문화재인 것은 누구나 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러한 유물들이 오래전 사람들의 일상용구일 뿐이..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신석기시대 결합식 낚시바늘과 그물 복원예 중앙박물관의 가장 큰 고민과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전시 연출예국립박물관 특유의 단조로움과 깔끔함은 오히려 관람객들에게 박물관의 분위기와 관람 동선에 효과적이지만 이해와 해석을 가져다 주는데 많은 제한이 따른다.하지만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상황과 전..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신석기시대 주거지 출토 석재 작살 복원예 신석기시대 작살을 이용한 어로행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마찬가지로 아크릴을 이용하여 작살자루를 단순히 연출전시 연출한 예는 작살머리만을 연출하여 이중식 작살을 의도한 것인지, 아니면 자루부분을 생략한 것인지 알수가 없다.관람객들은 그러한 검증없이 무비판적으로 받..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을 이용한 결합식도구 복원품 세형돌날을 이용한 결합식도구의 복원 전시 예아크릴을 이용하여 나무나 골각기와 결합시킨 것을 대체하여 너무 단순화 하였다. 오히려 나무나 골각기와 결합하여 복원전시하는 것이 더 나을것 같다는 의견.관람객들은 사실 이런 전시의도가 무언지 모르고 지나간다.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후기구석기시대 슴베찌르개의 잘못된 복원 후기구석기시대 대표적인 사냥도구로 알려진 슴베찌르개 슴베찌르개를 복원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연출 한 예아직 슴베찌르개의 정확한 기능과 사용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없지만 대체적으로 화살촉 또는 창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창쪽 끝에 슴베찌르개를 복원하여 칡줄기를 ..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 청동기시대 화살복원 국립중앙박물관의 청동기시대 화살의 복원춘천 천전리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발굴된 자료를 복원한 전시 연출예화살대의 두께가 유적에서 출토된 싸리나무와의 구경이 맞지 않은 전시 예화살촉과 결부하는 가죽끈 역시 매듭법이 없이 접착제로 그럴싸하게 복원해 놓았다. 가장 어의없..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선사시대 예술행위가 담겨진 유물자료 중앙박물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각종 예술행위가 담겨진 유물들 체험교구의 아이템화를 위한 자료 2013. 3. 6.
국립중앙박물관 신석기실 화살촉 전시예 국립박물관 특유의 정돈과 깔끔함이 뭍어나오는 전시연출 예 가장 큰 단점으로는 단순함에 있다. 배경을 통한 화살대의 복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며 유물들이 돋보이지 않으며 전시장과의 거리가 있어 잘 보이지도 않는다. 2013. 3. 6.
2013년도 1차 토기소성작업 오전 10시에 시작된 소성작업이 오후 2시경에 끝남. 약 4시간의 소성과정을 통해 올해 첫 토기소성이 무사히 마무리 약 13년동안 토기소성을 위해 노천장으로 이용하는 장소 토기소성을 위해 바닥에 땔감과 잡석을 까는 작업 노지주변의 땔감을 둘러쌓는 작업 노지의 산소유입구를 마련 .. 2013. 2. 23.
청동기시대 마제석창(울산 천상리유적 및 경주 황성동 유적) 재현품 청동기시대 마제석창 복원품-울산 천상리유적과 경주 황성동유적 출토품 흑색셰일(석제)과 소힘줄(자루 결속끈), 송진(천연접착제)을 이용하여 석창의 자루(자작나무)와 제작 석창의 슴베부분(경부)의 폭은 자루와 결속되는 지름의 최대넓이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복원이 이루어짐. 복원된 석창 완성품은 총 길이 3m임 2013. 2. 21.
청동기시대 청동도끼 토제용범(청동거푸집) 청동기시대 청동도끼를 제작하기 위한 주조용 토제용범 토제용범의 존재가능성은 고고학계에서 연구적으로 검토된적이 있지만 아직 확실한 토제용범틀이 유적에서 확인된 적은 없다. 청동기시대 및 철기시대 용범은 대부분 활석이나 각섬암 등을 용범틀로 제작하여 주조품을 제작하고.. 2013. 2. 21.
#13 청동기시대 울산 천상리유적 출토 석창복원 울산 천상리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창 실물 복원 주거지에서 출토된 마제석창으로 단순 의기화된 유물이 아니라 생활용구의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수 있다. 생활용구라 함은 어로나 사냥과 관련된 도구임을 연관지을수가 있는데 석창의 예리함과 제작수준 등을 볼때 육상포유류.. 2013. 2. 21.
#12 청동기시대 석창제작-경주 황성동유적 출토 경주 황성동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마제석창 복원 길이 18.5cm의 청동기시대 마제 석창을 실물 재현제작 청동기시대 마제석창은 현재까지 출토된 예가 그리 많지 않아 수렵과 관련된 사냥도구의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석창길이 : 18.5cm 석창날폭 : 4.5cm 전체길이(자루포함) :약 2.. 2013. 2. 15.
#11 청동기시대 마제석검 제작(돌칼제작) 청동기시대 유경식 마제석검의 복원제작 흑색셰일을 가공하여 전면마연한 마제석검-청동기시대 지석묘에서 흔히 출토되는 형태 제작기간은 약 2주 석검길이 : 약 32cm 석검날 폭 : 약 6cm 2013. 2. 13.
#10 청동기시대 마제석촉복원(돌화살촉) 청동기시대 매장유구에서 마제석검과 같이 매납되는 마제석촉류 크기별 cm 당 3만원. 2013. 2. 4.
#9 청동기시대 마제석검 재현품 청동기시대 매장유구의 부장유물로 주로 매납되는 마제석검약 3주간에 걸쳐 흑색셰일을 가공한 청동기시대 마제석검유물 관리의 혼동과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등록 박물관만 구입가능 석검길이 : 약 48cm 석검날 폭 : 약 4.5cm 2013. 2. 4.
아틀라틀(atlatl) 선사시대 특히, 후기구석기시대 대표적인 사냥도구 중의 하나이다. 아틀라틀은 창던지개를 이용하여 창의 기능을 극대화한 구석기시대의 대표적인 사냥도구이며 특히 대형포유류 등을 사냥할 때 가장 유용한 도구중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아틀라틀은 대륙별로 등장하게 되는데 크.. 2013. 2. 4.
#8 대나무 작살제작 대나무를 이용하여 각종 도구를 만드는 방법은 선사시대 부터 매우 오랜시간 동안 이용한 방법이다. 대나무마디를 가공하여 작살을 제작하는 방법 또한 그렇다. 대나무가 자라나는 모든 환경에서 이것을 소재로 한 도구의 제작은 거의 모든 나라가 동일한데 특히 칼이나 작살제작은 매.. 2013. 2. 3.
대나무칼제작-실험고고학 대나무가 자라는 환경에서 수풀이나 밀림환경에서 즉석해서 칼의 용도를 쓸수 있는 대나무 칼 인도네시아 경우 수풀을 헤쳐나가거나 사냥후 동물을 손질할 때 대나무칼을 이용하여 손쉽게 칼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대나무 특성상 날카롭고 견고하게 갈라지는 성질을 활용하여 수풀.. 2013. 2. 3.
대나무 작살제작-실험고고학 대나무의 마디를 가공하여 제작한 작살 민물이나 물흐름이 적은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살형태 작살촉이 짧고 두텁기 때문에 촉부분이 부러질 염려가 적지만 작살에 물고기가 꼽히지 않음. 동남아시아 및 남미쪽 원주민들의 경우 아까시 나무 등 대형 가시바늘을 이용하여 .. 2013. 2. 3.
천연접착제-실험고고학 선사시대부터 인류는 다양한 도구를 가공하고 결합시키기 위해 자연의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천연접착제를 사용해왔다. 대표적으로 식물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주로 침엽수에서 산출될 수 있는 송진과 활엽수의 자작나무에서 추출할 수 있는 천연 타르이다. 동물성 수지로는 밀납을 들 .. 2013. 1. 31.
175만년 전 호모에렉투스는 '손도끼 장인' 175만년 전 호모에렉투스는 '손도끼 장인' [한겨레] 케냐 등서 50여점 발견 연구진 "상당한 완성도" 용도에 맞춘 가공 흔적 [한겨레] 케냐 등서 50여점 발견 현생 인류의 직계조상인 호모 에렉투스가 175만년 전에도 뛰어난 수준의 석기를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존에 발견된 호모 에렉투.. 2013. 1. 30.
#7 신석기시대 고성 문암리유적 출토 돌칼복원 강원도 고성지역 문암리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돌칼의 실험고고학적 복원신석기시대 대표적인 돌칼이라 할 수 있으며 형태적으로 칼의 용도와 기능을 분명히 알 수 있는 유물자료이긴 하지만 다른 용도일 가능성이 높다.돌칼의 몸체부에 구멍을 내기 위해 찰절기법으로 천공하였.. 2013. 1. 30.
#6 청동기시대 돌도끼 복원 날부분만 부분마연된 청동기시대 돌도끼의 복원곡병자루에 돌도끼를 끼워서 제작돌도끼의 석재는 처트이며 혼펠스와 함께 청동기시대에 석기를 만든는 석재로 자주 활용한다. 돌도끼의 몸체는 직접떼기로 도끼의 형태로 성형한 다음 날부분만을 사암제 숫돌에 갈아 날을 세웠다.도끼자.. 2013. 1. 30.
#5 청동기시대 돌낫(석겸) 재현 농경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밭과 논이 확인되는 청동기시대에는 다양한 농경구들이 등장하게 되고 그에 적절한 기능와 용도를 발휘할 수 있는 도구들이 발견된다.돌낫 또한 그렇다. 석겸이라고 하며 이러한 석기들은 곡물수확에 매우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며 현재의 낫과 그 형태.. 2013. 1. 30.
#4 청동기시대 소형돌도끼의 복원 날부분만 부분마연된 청동기시대 소형 돌도끼의 복원 곡병자루에 돌도끼를 박아서 제작 돌도끼의 석재는 처트이며 날카롭고 깨지는 특성과 단단하여 혼펠스와 함께 청동기시대에 석기를 만든는 석재로 자주 활용한다. 돌도끼의 몸체는 직접떼기로 도끼의 형태로 성형한 다음 날부분만.. 2013. 1. 30.
#3 청동기시대 달도끼(환상석부) 복원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의례도구중의 하나인 환상석부(달도끼). 의례적인 형태와 의미가 가미된 청동기시대 제사유물중의 하나로 무기로 사용되기 보다는 제사에 사용된 도구로 추정 청동기시대에는 별도끼, 곤봉두와 같이 특이한 형태의 돌도끼가 이 시기에 확인되며 샤먼과 같은 의례.. 2013. 1. 30.
실험고고학-인도네시아 코코넛 그릇의 복원(민족지사례) 인도네시아 일원 코코넉 껍질을 활용한 그릇 복원 식기 및 저장을 하기 위해 코코넛을 가공하여 그릇으로 사용한 시기는 매우 오래되었다. 2013. 1. 30.
실험고고학-청동제련에 필요한 도가니제작 청동주물을 얻기 위한 도가니제작 2013.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