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고고학 자료실258

실험고고학-적색마연토기의 실험고고학적 복원 -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마연토기라고 할 수 있는 적색마연토기, 붉은 간토기, 홍도 등이라고 하는 매납용 토기 - 토기의 성격은 분명하지만 제작기법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확실히 복원된 예는 없음 - 여러 연구자들이 실험고고학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화철의 개념에서 실험.. 2011. 12. 6.
파퓨아뉴기니 사냥용 목창, 화살, 아틀라틀 2011. 12. 3.
석기제작-청동기시대 마제석검 - 의기화된 마제석검과 다양한 형태의 석검들 2011. 11. 20.
신석기시대의 아름다운 문양-빗살무늬토기 <!-- div { color: #ffbb00; } li { color: #ffbb00; } a, a:link, a:hover, a:visited { color: #ffbb00; } td { color: #ffbb00; } .txc-search-border { border-color: #ffbb00; } .me2day_daily_digest p, .me2day_daily_digest a, .me2day_daily_digest a:hover { font: 11px '돋움', dotum, sans-serif; } //--> - 빗살무늬 토기의 다양한 토기문양 - 이들 토기들은 대.. 2011. 11. 20.
신석기시대 돌도끼-석부(울진 후포리) - 국립경주박물관 전시- 2011. 11. 18.
아틀라틀 제작재료(창제작-깃털) <!-- div { color: #ffbb00; } li { color: #ffbb00; } a, a:link, a:hover, a:visited { color: #ffbb00; } td { color: #ffbb00; } .txc-search-border { border-color: #ffbb00; } .me2day_daily_digest p, .me2day_daily_digest a, .me2day_daily_digest a:hover { font: 11px '돋움', dotum, sans-serif; } //--> - 창(아틀라틀)을 제작하기 위해 선별해 놓은 다양한 대.. 2011. 11. 18.
실험고고학-천연접착제(자작나무 타르) 천연아스팔트 성분의 자작나무 타르제작구석기시대부터 접착제로 사용된 인류의 가장 오랜 천연접착제 중의 하나로 주로 도구제작의 접착제로서 활용도가 높았음(자작나무 자체가 기름이 많은 나무)열을 받으면 액체가 되고 식으면 점성을 가진 고체가 됨(자작나무 타르에 황토 또는 숯을 혼합하여 강도를 높였던 유물들이 구석기시대에 확인됨)송진 접착제의 가장 큰 단점으로 강도가 강하여 깨지는 현상이 빈번하나 자작나무 타르의 경우 탄성이 높아 깨지는 현상이 없어 적합함다만 타르추출에 많은 공정이 필요하며 건류에 따라 자작나무 액기스가 아니라 순수 타르추출양이 매우 빈약함수액 성분이 타르 안에 너무 많으면 묽어지는 경향이 있고 실온에 점성의 액체상태가 유지됨(이럴 경우 접착제로 사용할 수 없음) 2011. 11. 17.
실험고고학-청동기시대 화살복원(선사체험교구) - 유경식 및 무경식 마제석촉을 기반으로한 청동기시대 마제화살복원 - 재료 : 화살촉-흑색셰일, 화살대-싸리나무, 깃-꿩꼬리깃, 결속끈-소힘줄, 접착제-천연접착제(송진) 2011. 11. 17.
크리스탈 석촉과 석창제작 2011. 11. 12.
마제석검과 마제석창 실험제작(체험행사 교구자료) - 마제석검과 마제석창 실험제작(체험행사 교구자료) 2011. 11. 4.
청동기시대 가지문토기 - 가지문토기, 채색토기 등으로 불리는 청동기시대 의례용 토기 2011. 10. 29.
청동기시대 적색마연토기 - 적색마연토기,붉은간토기, 홍도 등 다양한 명칭으로 혼용되고 있는 채색토기 2011. 10. 29.
청동기시대 마제석창 실험제작-교구사진 - 실험제작복원 - 현재까지 유물자료가 부족하여 형태적인 문제점이 있음 2011. 10. 26.
청동기시대 화살촉과 화살대 복원 청동기시대 마제석촉과 화살대의 실험복원 제작(30개 약 3주 소요) 2011. 10. 25.
신석기시대 결합식 낚시축 제작-교구사진 신석기시대 낚시축 제작-고성문암리유적 출토유물을 모델로 실험복원 재질-찰절기법으로 세분화시킨 혼펠스 사슴뿔로 미늘이 달린 바늘 제작 중-결합방식에 문제점이 있음. 선사체험 모델화에 반드시 필요 2011. 10. 24.
실험고고학-독침의 사용 - 선사시대 자료중의 중요한 사냥도구중의 하나-취시라고 함 - 뚜렷한 고고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으나 민족지적으로는 매우 활용도가 높은 사냥도구 - 기후환경을 불문하고 대부분의 독침은 대나무나 선인장의 가시를 손질하여 침을 제작한 뒤 긴 대롱에 삽입하여 입으로 불어 사냥 - .. 2011. 10. 24.
천매암-신석기,청동기시대 주요 석기제작 재료 - 마제석부 및 석착 등 신석기, 청동기시대 석기를 제작하기 위해 석재산지 탐방 - 다양한 형태, 색깔의 천매암 등이 산사면에 산재 - 하천가의 천매암 산지(오랜시간 동안 마모되어 자갈형태가 많음) - 상대적으로 하천가의 천매암들이 석재가 양호편이나 풍화가 상당히 진행된 석재들도 .. 2011. 10. 20.
청동기시대 유경식 마제석촉 복원 - 청동기시대 유경식 마제석촉 복원 2011. 10. 15.
삼국시대 논유적에서 발견된 소, 말, 사람발자국 자료 -현재의 소 발자국자료 - 0000유적에서 확인된 소발자국,말발자국, 사람 발자국 흔적 - 현재 사람발자국 보행렬 비교 -유적에서 확인된 발자국 자료 2011. 10. 14.
청동기시대 석기(반달돌칼,돌낫)로 곡물수확하는 이미지자료 <!-- div { color: #ffbb00; } li { color: #ffbb00; } a, a:link, a:hover, a:visited { color: #ffbb00; } td { color: #ffbb00; } .txc-search-border { border-color: #ffbb00; } .me2day_daily_digest p, .me2day_daily_digest a, .me2day_daily_digest a:hover { font: 11px '돋움', dotum, sans-serif; } //--> 반달돌칼(반월형석도) 및 삼각형석도, 석겸(돌낫)의 사용.. 2011. 10. 14.
선사체험용 타제석촉 제작-선사체험교구용 - 후기구석기시대 및 신석기시대 타제석촉 제작 - 눌러떼기를 통한 평행박리기법으로 제작 2011. 10. 13.
청동기시대 반달돌칼 실험제작-선사체험 교구 - 반월형석도제작, 혼펠스와 세일로 제작 - 천공작업에는 세일이 가장 무난. 천공도구로는 사슴뿔, 뼈, 대나무 등이 가장 효과적임. 이 외에도 결정질 석영(수정)이나 규암제 격지 등도 용이함. 2011. 9. 30.
주먹도끼 이미지 - 타제석부와 주먹도끼 자료용 소개 - 아래부분을 국부마연 하기 전 2011. 9. 28.
직접떼기법에 의한 돌날제작 - 직접떼기법으로 돌날제작하기 2011. 9. 28.
2011년 9월17일 4차 토기소성 - 2011년 올해 들어 4번째 토기소성작업 실시 - 소성전에 건조된 상태에서 목탄으로 코팅 - 한가지 생각한 실험을 염두해두고 소성한 상태 - 소성과정 후에 목탄으로 덪칠했던 부분들이 없어진 상태 - 약 500도 전후에서 1차소성시에 따로 빼내어 목탄으로 재 작업예정 2011. 9. 27.
비파형석검제작 - 비파형동검을 모델 - 점판암을 가공한 비파형석검 실험복원과정(나주 운곡동유적 출토품) - 돌대부분의 추가 마연이 필요 - 비파형동검의 원형 2011. 9. 27.
실험고고학-민족지자료(이누잇족의 눌러떼기 도구) 19세기 이누잇족이 사용한 눌러떼기도구(스미스소니언 보관) 바다사자 늑골로된 손잡이와 끝부분은 바다사자 상아로 제작되었다. 2011. 9. 25.
otzi man-청동기시대 사냥꾼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국경에 위치한 외츠(Otzi)계곡 빙하 속에서 발견된 이 선사인은 지금으로 부터 약 5300년 전의 인물로 냉건조된 미라이다. 이 사람의 소지품속에서는 당시 사냥꾼의 생활상을 그대로 엿볼수 있는 구리도끼와 플린트제 칼, 말굽버석 등 다양한 용품들이 온전히 발견.. 2011. 9. 25.
힘줄(sinew)을 활용한 천연 끈 - 힘줄은 성질이 질겨 도구의 제작 또는 매듭을 지을때 매우 효과적임 - 특히 화살이나 도끼등을 제작할때 결속끈으로 매우 효과적이며 줄의 강도가 높기 때문에 쉽게 끊어지지 않음 - 잘 건조한 힘줄은 나무망치나 자갈돌 등으로 내리쳐 근섬유를 분리시킨 다음 서로 꼬아 사용하게 되는.. 2011. 9. 25.
2011.09.23 토기소성-노천가마 속의 토기 -완전 소성이 되기 전에 이미 해가 진 상황에서 노천 가마 속에서 소성중인 토기 2011.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