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파형동검4

비파형동검(부여 송국리유적) 및 세형동검(창원 다호리유적)의 제작 -박물관 유물전시에 재현품으로 필요한 청동기시대 비파형동검과 초기철기시대 세형동검(창원 다호리유적 1호분) 실물크기 제작 -대부분의 사람들이 청동검은 실제로 사용한 무기로 오해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대부분의 청동검들은 비록 무기의 형태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그러한 기능 보다는 위세품 및 의기화의 기능이 가장 큼 -실제 창원 다호리유적 및 광주 신창동유적에서 출토된 각종 반부 및 세형동검들의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검의 부속품 대부분이 나무로 제작되어지며(완주 상림리 중국식동검 예외-참고) 각종 검부속품들이 조립되는 과정을 통해 검의 상징성을 염두하여 제작되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일부 고고학자들의 경우 이러한 동검들이 실제로 사용가능한 무기로 잘못 오해하고 연구하는 경우가 있음 -그러나 실제.. 2017. 12. 20.
부여 송국리유적 출토 각종 유물들 부여 송국리유적 출토 각종 유물들 청동제유물 및 석검, 화살촉, 비파형동검과 송국리 문화의 대표적인 토기형태인 송국리식 토기 2013. 4. 4.
비파형동검의 실험고고학적 복원 비파형동검을 제작하기 위한 용범 틀작업 나무를 이용하여 실제 비파형동검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 토제 용범 틀뜨기 복원과정 2013. 1. 10.
비파형동검의 실험고고학적 복원 플라스캠프 청동기시대 비파형동검의 복원 실험모델(국립경주박물관) 2012.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