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골 수술은 매우 복잡한 기술이 사용되는 어려운 수술이다. 심지어 21세기에도 어려운 수술이기도 하다. 하지만 최근 페루에서 발견된 증거에 의하면 이곳의 치료사들은 두개골 손상이나 심장병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1000년 전에 손드릴이나 깎는 도구를 이용해서 두개골의 뚜껑을 수술을 통해서 제거하는 천공수술을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은 발달된 의료기술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러한 수술을 했다.
페루 남중부에 위치한 안데스 산맥지역의 안다우아이라스 (Andahuaylas)주의 매장지 발굴을 통해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산타바바라 (UC Santa Barbara)의 생명고고학자인 다니엘 쿠린 (Danielle Kurin)의 연구팀은 후기 중간기 (Late Intermediate Period, AD1000-1250)에 살았던 32명의 유해를 발굴했다. 이들 중 45개의 각기 다른 천공수술 증거를 발견했다. 쿠린 연구팀의 발견은 학술지인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지에 발표되었다.
UCSB의 인류학과 방문교수이며 법인류학자인 쿠린은 “뇌에 큰 충격을 받게 된다면 뇌는 위험하게 부어 오르거나, 신경학적인, 정신적인 또는 심신질환을 일으키게 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 머리에 구멍을 만드는 것은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쿠린에 의하면 비록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천공수술은 200년에서 600년 사이의 초기 중간기에 해당하는 기간에 남중부 안데스산맥의 고원지대에서 처음 나타났다. 하지만 16세기 초에 스페인의 정복자들이 이러한 천공 수술을 완전히 금지하기 전까지 사용가능한 의학적 방법이었다. 하지만 쿠린은 천공수술이 처음에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알고 싶었다. 그리고 그녀는 이에 대한 해답을 발견하는데 실패한 경우를 조사했다.
그녀는 “약 400년 동안 600년에서 1000년까지 안다우아이라스 지역은 와리 (Wari)라고 불리는 신비스런 제국에서 가장 풍족한 지역이었다. 이유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이 제국은 완전히 붕괴되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문명의 붕괴는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쿠린은 “하지만 우리는 이 제국이 붕괴되는 시기에 천공수술이 이루어지게 된 회복력과 용기를 조사했다. 미국 남북전쟁에서 총상으로 인해 발생한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서 의안 (glass eyes)이 개발된 것처럼 그리고 급조폭발물 (IED)이 군사분야에서 의족기술을 발달시킨 것처럼 페루에서 천공수술은 폭력이나 질병 그리고 가난으로 인해서 발달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쿠린의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수술방법과 기술이 당시에 개발되었다. 일부에서는 긁어내기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칼이나 핸드 드릴을 이용했다. 쿠린은 “이것은 다른 종류의 기술을 사용했으며, 이것은 오늘날 의학치료방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방법과 유사하다. 이들은 각기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두개골 수술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때로는 이 수술은 성공적이었으며 환자는 회복되기도 했다. 그리고 때로는 실패하기도 했다. 쿠린은 “이 천공수술법은 손가락처럼 뼈가 자란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치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몇몇 사례를 통해서 원래 두개골의 상처가 치료되기도 했다. 많은 경우에는 원래 상처와 천공수술부위는 회복되었다”고 말했다. 이 수술 부위가 회복되는데 몇 년이 걸렸으며 뼈가 다시 자랐으며, 천공수술로 인해 남겨진 구멍은 죽을 때까지 남아있었으며, 새로운 생존자의 신분표시가 되기도 했다.
환자가 생존하지 못한 경우에 그의 두개골 (대부분은 남성의 두개골로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천공수술은 금지되어 있었다)은 과학연구를 위해 제공되었으며 교육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쿠린은 “이 시술법은 두개골 뼈를 뚫고 들어갔지만 뇌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것은 대단히 놀라운 기술이다. 생고고학자로서 이들은 당시 죽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했으며, 드릴을 사용해서 수술 부위와 깊이를 측정했을 것이다. 한 경우에, 각 구멍은 마지막으로 뚫은 것보다 약간 더 깊어진다. 선사시대의 페루 의술학교에서 핸드 드릴을 이용해서 얼마나 많이 드릴을 돌려야 하는지를 측정했으며 정확하게 두개골의 두께를 뚫고 들어가도록 했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누군가의 두개골에 구멍을 뚫는 것은 고문의 한 형태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쿠린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 그녀는 “우리는 천공수술이 이루어진 곳을 볼 수 있다. 이곳에 머리를 깎았을 것이다. 그리고 상처지점이 나을 수 있도록 약초를 바른 흔적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이들의 의도가 아프거나 상처를 입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치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쿠린의 연구팀이 안다우아이라스의 동굴에서 발굴한 유골은 세계에서 가장 잘 그 배경을 알 수 있는 유골들로 이루어져 있다. 천공수술이 이루어진 두개골의 대부분은 스미소니언 연구소나 필드 자연사 박물관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나 허스트 인류학 박물관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등에서 연구되었다. 쿠린은 “대부분 고고학자들이 100년 전에 발굴한 것이며 우리는 그 맥락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쿠린의 조심스러운 고고학적 발굴과 이곳에 매장된 인간 두개골과 미이라에 대한 긴 분석으로 인해서 그녀는 정확하게 어디에서, 언제 그리고 어떻게 이 유골이 매장되었는지 그리고 무엇이 함께 매장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그녀는 탄소연대측정 방법과 사체가 해골로 만들어지거나 미이라로 만들어지기 전에 얼마나 남겨져 있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곤충의 막을 조사했다. 그리고 다중동위원소 테스트법을 통해 이들이 무엇을 먹었는지 그리고 어디에서 태어났는지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 그녀는 “이 유골은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서 “이 고대인간들은 직접적으로 정보를 주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은 우리들이 그들의 삶과 죽음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죽을 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요하게도 제국의 붕괴시점으로 암흑시기로 보는 것보다는 이들이 용기와 기술적 혁신이 일어나는 시기를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출처: <사이언스 데일리> 2013년 12월 28일
원문참조:
Danielle S. Kurin. Trepanation in South-Central Peru during the early late intermediate period (ca.AD1000-1250).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2013; 152 (4): 484 DOI: 10.1002/ajpa.22383
'고고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남기고 떠난 네안데르탈인 (0) | 2014.02.06 |
---|---|
“현생인류 몸에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존재” (0) | 2014.01.30 |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당뇨병 가능성 ↑ (0) | 2013.12.26 |
동아시아인 다수가 네안데르탈인 게놈 보유 (0) | 2013.12.20 |
미스테리한 신석기시대의 나무 삼지창 (0) | 201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