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틀라틀은 깃털이 달린 작은 창을 낄 수 있도록 막대기 끝에 홈이 있는 구조다. 막대기는 인간의 팔로 창을 던질 수 있는 운동량을 증폭시키는 지렛대 역할을 한다. 사냥꾼은 검지와 중지로 막대기를 잡고 야구공처럼 던져 창을 멀리 날릴 수 있다. 이와 달리 네안데르탈인은 유라시아의 숲에서 절벽이나 나무에 올라가 아래쪽 먹잇감을 향해 창을 던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처럼 위에서 창을 던지는 실험을 했다. 베버 교수는 “중력 때문에 일반 창이나 아틀라틀 둘 다 던지면 힘이 증가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연구진 두 명은 리프트를 타고 3m, 6m, 9m까지 올라가 가벼운 아틀라틀 발사체나 무거운 창을 던졌다. 동시에 고속 카메라로 각 무기의 속도와 운동에너지를 측정했다. 손으로 던진 창은 높은 곳에서 던질수록 운동 충격에너지가 증가했다. 9m 높이에서는 평지에서 던졌을 때보다 최대 100%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아틀라틀 발사체의 운동에너지는 리프트 높이가 높아질수록 감소했다. 9m 높이에서는 평지보다 20% 줄었다.연구진은 아틀라틀은 높은 곳에서 아래로 던지는 동작이 불편해서 운동에너지가 줄었다고 지적했다. 야구공을 앞이 아니라 아래로 던지기 힘든 것과 같다. 또 아틀라틀로 던지는 얇고 가벼운 창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돌풍이나 공기저항에 더 취약할 수도 있다.
The gravity of Paleolithic hunting
Topographic relief potential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one Age hunting from the Middle Paleolithic onwards. Natural physical features like arroy…
www.sciencedirect.com
'고고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4만 9000년 전 첫 사랑 나눴다 (0) | 2024.12.13 |
---|---|
"이스라엘 동굴서 아시아 最古 구석기 제사의식 시설 발견" (0) | 2024.12.10 |
데니소바인, 티베트 동굴서 빙하기 버텼다 (0) | 2024.07.05 |
"네안데르탈인, 다운증후군 6세 어린이 돌봤다?" (0) | 2024.06.28 |
"네안데르탈인, 나무로도 도구 만들었다" (0) | 2024.05.07 |